재래산양연구회

Home > 현장 속으로 > 울산·염소연구회

제목 [기본] 흑염소는 왜 제주 섬 골칫거리가 됐나 등록일 2023.01.23 11:50
글쓴이 앞선넷 조회 102

방목된 일부 번식하며 '야생화'곳곳 파헤치며 식생 파괴

 

제주도가 야생화한 염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3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오는 45월께 제주시 추자면 청도에 서식하는 염소에 대한 포획이 이뤄진다.

 

앞서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지난해 9월 특정도서 모니터링 과정에서 청도에 염소 30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청도는 추자도에서 배로 10분 거리에 있는 무인도로, 파도에 의해 생긴 파식대와 해식동굴 등 지형·경관적 가치가 뛰어나 20037월 특정도서로 지정됐다.

 

특정도서로 지정되면 각종 개발행위는 물론 가축 방목과 야생동물의 포획·반입, 야생식물 채취 등이 금지된다.

 

사실 청도의 흑염소 소탕 작전은 처음이 아니다.

 

도서 지역에 방목된 염소는 생태계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높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지정하는 '생태계 위해성' 2급종으로 분류됐다.

 

이로 인해 청도에서 처음 흑염소가 발견된 2008년을 시작으로 2012년과 20203차례에 걸쳐 흑염소 포획이 이뤄졌지만, 살아남은 개체가 또다시 번식해 개체 수를 늘리며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올해는 총포가 아닌 'GPS 생포 트랩'을 이용해 염소를 잡을 예정이다.

 

천연기념물(376)이자 국가 지정 명승(77)인 산방산 일대에도 흑염소 최소 수십 마리가 서식하면서 생태계 파괴에 낙석 사고까지 야기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산방산 중턱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굴속에 불상을 모신 산방굴사를 오르다 510마리 무리 지어 뛰어다니는 염소를 봤다는 목격담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산방산에서 서식하는 염소는 2000년대 초반 마을 주민이 풀어 놓고 기르던 몇 마리가 야생에 완전히 적응해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34년 전 포획용 틀을 설치한 것 외에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매년 산방산 식생에 대한 모니터링을 벌이고 있고, 모니터링 과정에서 염소로 인한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천년의 섬'으로 불리는 제주시 비양도도 야생 흑염소 무리로 한때 시끌벅적했다.

 

1975년 한림수협이 도서 지역 소득사업의 일환으로 가구당 흑염소 12마리씩을 보급하는 과정에서 비양도에 처음 염소가 들어와 살게 됐다.

 

이때 비양도에서 가장 높은 비양봉 일대에 방목된 흑염소 무리가 야생 염소로 변했고, 개체 수도 빠르게 늘면서 환경파괴 문제가 불거졌다.

 

흑염소 무리는 풀은 물론 나무 밑동 껍질까지 갉아 먹었고, 화산회토까지 파괴하면서 국내에서 유일한 비양나무 군락까지 훼손됐다.

 

결국 제주시는 2018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6차례에 걸쳐 인원 500여 명을 동원해 흑염소를 비양봉 분화구에 가둬 잡는 대대적인 포획 작전을 벌였다.

 

시는 이렇게 잡은 흑염소 203마리를 모두 수매했다.

 

다행히 시가 2020년 비양봉 식생을 조사한 결과 풀이 돋아나고 조릿대가 되살아나 우거지는 등 자연식생이 눈에 띄게 회복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하      ⇒  원문 가기

AKR20230120139300056_03_i_P4.jpg

회원가입    아이디/비번찾기

 아이디저장     비밀번호저장

  • 앞선 넷
  • 인사말 활동방향 앞선넷 소개
  • 알림방
  • 알림방
  • 앞선 공지
  • 앞선 정보
  • 앞선정보
  • 앞선 자료
  • 앞선 자료
  • 몸애마음애
  • 먹거리이야기
  • 건강생활
  • 현장 속으로
  • 명품청우리한영농조합법인
  • 재래산양연구회
  • 앞선신우
  • 나의 경영
  • 앞선 양식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