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생활

Home > 몸愛 마음愛 > 건강생활

제목 [기본] 단백질 섭취가 많으면 비(非)알코올성 지방간 위험 1/4로 .. 단, 식물성 단백질 늘려야 등록일 2023.03.18 04:15
글쓴이 앞선넷 조회 11

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 많으면 위험 3배 증가

단백질 섭취가 체중 감량유지 돕기 때문으로 분석

이란 암연구센터 연구진, CNR 최근호에 발표

단백질 섭취가 많으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을 1/4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기 등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많으면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이 오히려 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란 샤히드 베헤시티 대학 의대 암연구센터 아나히타 만수리(Anahita Mansoori) 박사팀이 20182019년 이란 아바즈의 한 건강센터를 찾은 243(121명 비알코올성 지방간 진단, 122명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단백질 섭취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Association Between Protein Intake From Different Animal and Plant Origins and the Risk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 Case-Control Study)는 한국 임상영양학회가 내는 영문 학술지(Clinical Nutrition Research) 최근호에 실렸다. ⇒ 바로 읽기

이 연구에 참여한 사람의 평균 나이는 42.7세였다. 연구팀은 연구대상자를 각자의 하루 단백질 섭취량식물성 단백질 섭취량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등에 따라 상(최다 섭취)(최소 섭취) 등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단백질 섭취량 상 그룹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은 하 그룹보다 76% 낮았다. 반대로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 상 그룹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위험은 하 그룹의 3.2배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을 위해선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되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는 줄여야 한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지적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간 질환 중 가장 흔한 병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25%에 달하며, 특히 아시아와 남미에서 환자가 많다.

식이요법과 운동을 포함한 체중 감량 등 생활 습관 개선이 지방간 관리의 핵심이다. 다이어트와 체중 감량은 지방간의 진행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백질 섭취가 간의 지방 축적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불분명하다. 단백질 섭취 증가는 체중 감량과 유지를 도와 지방간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 하 원문 가기


비알코올성 지방간 예방을 위해선 식물성 단백질의 섭취를 늘리되 동물성 단백질의 섭취는 줄여야 한다.jpg
파일첨부 :
글쓴이    비밀번호   
보이는 순서대로 문자를 모두 입력해 주세요
* 600자 제한입니다.

회원가입    아이디/비번찾기

 아이디저장     비밀번호저장

  • 앞선 넷
  • 인사말 활동방향 앞선넷 소개
  • 알림방
  • 알림방
  • 앞선 공지
  • 앞선 정보
  • 앞선정보
  • 앞선 자료
  • 앞선 자료
  • 몸애마음애
  • 먹거리이야기
  • 건강생활
  • 현장 속으로
  • 명품청우리한영농조합법인
  • 재래산양연구회
  • 앞선신우
  • 나의 경영
  • 앞선 양식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