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F 양성 개체 포획·발견수 급감 올 4월 138건…9월 4건 그쳐 발생농장 주변서 지속적 확인..환경부 소극적 관리 걱정태산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주요 감염원으로 꼽히는 야생멧돼지 ASF 양성 개체 확인 건수가 급속히 줄어 양돈농가들의 불안감이 커진다. 농가들은 주무부처인 환경부가 포획·수색에 소극적이기 때문이라는 견해를 내놓는다. 환경부는 양성 개체수 자체가 줄었다는 입장이다. 국립야생동물 질병관리원에 따르면 4월 ASF 양성 야생멧돼지의 포획·발견 건수는 138건이었다. 하지만 5월 36건, 6월 38건, 7월 36건, 8월 17건으로 크게 감소했다. 특히 이달 1∼27일엔 단 4건에 그쳤다. 양돈농가들은 농장 내 ASF 발생이 끊이지 않는 상황에서 야생멧돼지에 대한 적극적인 포획·수색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농장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걱정한다. 올 들어 돼지농장에서 ASF는 1월16일 경북 영덕을 시작으로 경기 파주(1월18일), 강원 철원(5월21일), 경북 영천(6월15일), 〃 안동(7월2일), 〃 예천(7월7일), 영천(8월12일), 경기 김포(8월31일) 등 8건이 발생했다. 더욱이 발생농장 주변에선 ASF 양성 야생멧돼지 개체가 지속적으로 확인된다는 게 농가들의 전언이다. 실제로 대한한돈협회에 따르면 6월15일 영천 확진 사례에서 발생농장 방역대(10㎞) 내 발견된 ASF 양성 야생멧돼지 개체는 올 들어 농장 발생 시점까지 33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7일 예천과 8월12일 영천 확진농장 주변에서도 각 20건과 25건의 ASF 양성 개체가 발견됐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ASF 확진 농장 주변에서 양성 개체가 계속 발견됐지만 최근 전체 양성 개체 확인 건수는 줄고 있어 포획·수색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한돈협회는 최근 환경부에 공문을 보내 ASF 예방을 위해 야생멧돼지 포획과 사체 수색을 강화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환경부는 이미 충분한 포획·수색이 이뤄지고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환경부 관계자는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집계한 올 1∼8월 전체 야생멧돼지 포획·수색 실적은 5만160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만219마리)보다 28.3% 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활동에 힘입어 전국 야생멧돼지 서식밀도는 2021년 1㎢당 1.37마리에서 2022년 1.05마리, 지난해 1.01마리로 지속해서 줄고 있다”고 덧붙였다. 8∼9월 양성 개체 확인 건수가 급감한 것과 관련해선 “여름철에는 폐사체 부패 속도가 빨라 ASF 바이러스 전파 속도가 늦춰지면서 양성 개체수가 감소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환경부 해명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성민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환경부가 밝힌 야생멧돼지 서식밀도는 야생멧돼지 발자국 등 흔적 조사를 통해 추정하는 것”이라면서 “실제 수렵 개체수나 무인카메라 촬영방법 등을 동원해 서식밀도를 추정하는 외국 사례와 비추면 과학적인 데이터로 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참에 야생멧돼지 저감 정책 주체를 농림축산식품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다시 한 번 제기된다. ‘한별팜텍’ 원장(수의학 박사)은 “환경부는 근본적으로 야생동물을 보호하는 기관”이라면서 “효과적인 방역이 목적이라면 야생멧돼지 저감을 포함한 방역대책을 농식품부로 일원화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하 ⇒ 원문 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