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선 정보

Home > 앞선 정보 > 앞선 정보

제목 [기타]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 등록일 14-07-15
글쓴이 앞선넷 조회 178

Roughing it. Pandas have found a way to survive on only bamboo.

판다는 세계에서 가장 매혹적인 채식주의자 중 하나다. 판다의 소화기는 고기를 소화시킬 수 있도록 진화했지만, 주야장천 대나무 하나만 먹는다.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판다가 지독한 편식을 하면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이유가 밝혀졌다고 한다.

자이언트 판다(Ailuropoda melanoleuca)는 곰의 일종이며, 아직도 육식동물의 소화기관(간단한 위장과 짧은 소장)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 소(牛)와는 달리 - 식물을 효율적으로 소화시킬 수 있는 위(혹위-벌집위-겹주름위-주름위)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대나무에는 단백질이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으며, 다량의 난소화성 섬유질(indigestible fiber)만 들어 있다.

판다가 극단적 편식을 하면서도 목숨을 부지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과학자들은 중국의 퀸링산에 서식하는 암수 판다 각각 3마리씩에 무선 송신기를 장착하고, 천연상태에서 뭘 먹는지를 6년간 관찰했다. 그리고 연구진은 관찰 결과를 토대로 판다가 먹는 식물들을 수거하여, 질소, 인, 칼슘(포유류의 3대 핵심 영양소)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들의 식단을 완전히 분석했다.

"동물들은 자신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먹이를 채집하며, 채집한 먹이를 잘 섞어 먹음으로써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지어 서식지의 여건 상 불가피하게 한 가지 식물만을 먹어야 하는 경우에도, 동물들은 가능한 한 다양한 부위(parts)들을 골고루 섭취하려고 노력할 것이 틀림없다"고 뉴욕 시티대학의 제시카 로스먼 교수(영장류학)는 Science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말했다. (로스먼 교수는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 로스먼 교수의 말이 맞는 것으로 드러났다. 퀸링산에는 두 가지 종(種)의 대나무, 즉 나무 대나무(wood bamboo)와 화살 대나무(arrow bamboo)가 서식하는데, 이 두 종은 서식하는 고도가 다를 뿐 아니라, 일년 중 새순 및 이파리가 나는 시기가 각각 다르다.

연구진이 장착한 무선송신기를 이용하여 판다들의 동선을 추적한 결과, 짝짓기 시기인 봄이 되면 판다는 나무 대나무의 새순을 주로 먹는 것으로 드러났다. 나무 대나무의 새순에는 질소와 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그런데 6월이 되면, 나무 대나무의 죽순이 성숙하여 질소 함량이 떨어지므로, 판다는 더 높은 곳으로 이동하여 화살 대나무의 새순을 먹기 시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두 종의 대나무는 모두 칼슘 함량이 부족하므로, 판다는 6월 중순쯤 다른 식량을 먹기 시작하는데, 그것은 바로 어린 화살 대나무의 이파리였다. 이파리에는 칼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미 판다의 식생활 패턴은 새끼의 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다는 봄에 짝짓기를 하지만 착상을 늦추기 때문에, 착상이 될 때까지 어미의 자궁 안에서 발육을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연구진에 의하면, 판다의 배아는 어미가 칼슘을 충분히 섭취할 때만 발육을 재개한다고 한다. 연구진은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Functional Ecology 7월 9일호에 발표했다.

8월이 되면, 어미 판다는 낮은 곳으로 되돌아와 핑크빛의 작은 새끼를 낳는다. 그리고는 나무 대나무의 새잎을 먹기 시작하는데, 여기에는 영양분(예: 수유에 필요한 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판다는 곰 중에서 임신 기간이 가장 짧아 겨우 2~3개월에 불과하며, 다른 곰들은 보통 6개월이다. 또한 판다는 곰 중에서 가장 작은 새끼를 낳는데, 갓 태어난 판다의 무게는 겨우 90~130g이다. 이에 반해 다른 곰들은 300~400g의 건장한 새끼를 낳는다. "판다 새끼의 덩치가 작은 것은, 어미가 서식지에서 섭취할 수 있는 영양소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연구진은 말했다.

그러나 판다가 제 아무리 재주를 피우더라도, 엄동설한을 견디기에는 역부족인 것 같다. 겨울이 되면 나무 대나무의 잎이 시들어 영양소 함량이 떨어져, 판다의 사망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실제로 이번 연구의 데이터를 보면, 지난 37년 동안 퀸링산에서 사망한 25마리의 판다 중에서 절반 이상이 3, 4월에 목숨을 잃었는데, 그 이유는 "겨울의 극심한 고통을 견디고 난 직후이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번 연구는 판다가 극단적인 편식을 함에도 불구하고 생존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 준다. 그러나 판다는 다른 곳에서도 영양분을 섭취할 가능성이 있다. 나는 판다가 때때로 죽은 고기를 먹는 장면을 목격한 적이 있다. 또한 판다는 바위를 핥음으로써 칼슘을 비롯한 다른 영양소를 섭취하기도 한다"고 베이징 대학교의 왕다준 교수(야생 생물학)는 Science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말했다. (왕 교수는 오랫동안 퀸링산에서 판다를 연구해 왔다.) 출 처 : http://news.sciencemag.org/biology/2014/07/how-pandas-survive-their-bamboo-only-diet (KISTI)

글쓴이    비밀번호   
보이는 순서대로 문자를 모두 입력해 주세요
* 600자 제한입니다.

회원가입    아이디/비번찾기

 아이디저장     비밀번호저장

  • 앞선 넷
  • 인사말 활동방향 앞선넷 소개
  • 알림방
  • 알림방
  • 앞선 공지
  • 앞선 정보
  • 앞선정보
  • 앞선 자료
  • 앞선 자료
  • 몸애마음애
  • 먹거리이야기
  • 건강생활
  • 현장 속으로
  • 명품청우리한영농조합법인
  • 재래산양연구회
  • 앞선신우
  • 나의 경영
  • 앞선 양식자원